Depot/그렇고그런

철강용어

zzixxa 2007. 10. 27.
반응형

 

     
 

ㄱ 형강 (angle)

KS D 2202에 규정된 단면 모양이 ㄱ형의 형강. 두변의 길이 및 두께가 각각 같든가 또는 다르든가에 따라서 등변 ㄱ형강, 부등변 ㄱ형강, 부등변 부등두께 ㄱ형강 등이 있다.

가공고철 (prompt industrial scrap)

기계공장 및 철강재 가공공장, 조선, 자동차공장 등에서 철강재를 사용하여 공업용 또는 소비자용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철을 말한다. 재사용을 위해 제강공장 및 주물공장으로 되돌아오는 분배경로 및 주기가 노폐고철에 비해 짧은 것이 특징이다.
가공고철은 철강재 다소비 산업에서 사용되는 기기와 제작과정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다. 그 종류는 절단고철(cutting), 선삭고철(turnings), 압연고철(stampings) 및 borings, punchings, trimmings, drillings 등이 있으며 재활용을 위한 가공작업이 필요하다.

가스관 (steel gas pipe)

KS D 3507로 배관용 탄소강관(금속기호 SPP)으로 규정되어 있다. 사용 압력이 비교적 낮은 가스, 증기, 물, 기름, 공기 등의 배관용, 또는 기계, 건축 등의 구조용으로도 널리 사용되는 가장 수요가 많은 강관이다. 따라서 시장성이 커서 강관 시황의 동향을 나타내는 지표 혹은 강관의 판매 가격의 기초 품종으로 여겨진다. 거의가 후프를 용접해서 제조 하며, 투명 녹방지 도료를 도포하기만 한 것을 흑관, 용융 아연도금을 한 것을 백관이라 부르고 있다.
관의 양 끝에 테이퍼 나사를 붙인 나사붙이 관도 있다.

각강 (square bars)

봉상으로 압연 또는 단조된 강철로서 단면의 모양이 정방형인 강재, 단면의 모서리를 둥글게 한것도 있다. 대변 거리로 치수를 표시하며 50mm 미만을 소형, 50-100mm 중형, 100mm이상을 대형이라 한다. 수요는 소형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16mm가 많다. 9mm는 미닫이 레일, 12mm, 16mm는 궤조용 대못 재료, 중형이나 대형은 차량용 단조품 재료 외에 , 곡괭이, 해머 등의 재료가 된다.

각형 강관 (square steel tube)

단면모양이 각형(角形)인 구조용 강관. 핫 코일 등을 소재로 용접개소에 따라 일심 (일심 용접)혹은 이심(이면용접)으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직경 200mm X 200mm 각 이하를 중소경각관, 그 이상의 사이즈를 칼럼이라 한다. 칼럼은 거의 전량이 철골(주로 기둥부)로써 사용되며, 중소경각관은 건축분야를 비롯해 토목 가공제품, 가구용 등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각관이라고도 한다.

강 (鋼 : steel)

선철을 제강로에 넣어 거의 대부분의 탄소나 기타성분을 감소시켜 정련한 것이다. 0.035~2.0%의 탄소를 함유한 철(일반적으로 탄소강 또는 보통강이 부른다)로 금속 재료로서 구조용, 기계부품용, 공구용 등으로 용도는 광범위하다.
강은 담금질, 템퍼링등 소위 열처리에 의해 그 성질을 크게 변화시킬 수가 있으며 질기고 늘어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압연, 주조, 단조, 인발, 압출 등에 의해 여러가지 모양으로 성형이 가능하다.
탄소함유량에 따라 저탄소강, 중탄소강, 고탄소 강으로 분류하며 용해, 정련수단에 따라 전로강(순산소 전로강), 평로강, 전기로강, 도가니강 등의 종류가 있다. 또한 합금 원소로서 탄소이외에 규소, 망간, 크롬, 니켈, 바나듐, 몰리브덴 등을 함유하는 것을 특수강 또는 합금강이라고 하며 특수한 용도로 사용된다.

강관 (steel pipe)

원통 모양으로 성형 가공된 강재. 이음매 없는 것과 용접 또는 단접된 것이 있다.(비고 : 원심력 주조법으로서 제조된 원심력 주강관은「원심력 주강품」 참조) 제조법상 봉강을 소재로 해서 구멍을 뚫은 무계목강관과 강대 또는 광폭 강대를 단.용접한 용접 강관으로 대별된다. 용접강관에는 제관법에 따라 단접강관, 전봉강관(전기저항 용접강관), 아크(전호)용접강관, 가스용접강관 등이 있으며 특히 대구경 용접강관으로 서는 스파이럴강관, UOE프레스 강관등이 있다. 외경의 치수에 따라 대구경관(400mm이상), 중구경관(100~400mm), 소구경관 (100mm이하)으로 대별된다. 치수는 보통 외경(外經), 두께, 그리고 길이로 나타내어 진다. 이전에는 외경을 인치로 표시했으나 미터법 실시에 의해 외경의 mm에 따라 32A(32mm), 50A(50mm)등으로 표시한다. 수도, 가스, 석유의 배 관용에서부터 화학공업의 장치용 그리고 각종 구조용 용도와 종류는 상당히 다양하다.

강괴 (steel ingot)

평로, 전로 또는 전기로에서 용제된 용강을 압연용이나 단조용에 적합한 주괴로 만들기 위해 강괴 주형(잉곳 케이스)에 주입해서 응고 후 주형에서 추출한 것을 말한다. 그 중량은 가공 목적에 따라 달라서 보통은 30~40통에서 25톤 전후까지인데 단조용인 것에는 최대 100톤의 강괴도 제조되고 있다.
또한 주입 방법에 따라 상주법 강괴와 하주법 강괴가 있다. 각종 제강로에서 산화 정련을 거친 용강은 다량의 산소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출강시에는Fe-Mn, Fe-Si, Al 등의 탈산제를 첨가해서 산소량의 조절 혹은 제거를 꾀하는데 이 탈산의 정도에 따라 킬드강괴(진정강괴), 세미킬드강괴 (반 진정강괴),림드강괴로 분류되며 다시 특수한 주입을 한 캡드강괴가 있어 각기 특성을 갖고 있다.

강대 (steel strip in coil, steel in coil, steel plate in coil)

평평하게 열간 압연 또는 냉간 업연된 강철로서 코일상으로 감긴 강재. 일본어로는 대강 이라고 한다.

강시판 (日) (steel sheet piles)

시트파일. 항만, 하천 등의 기초 공사에 상요하는 열간압연한 대형형강. 길이는 5~25m. 양 끝의 이음매부를 서로 조합해서 길게 만들 수가 있다. 일본에서는 옛날부터 목판의 끝을 화살모양으로 잘라내 산사태 방지등 토목용으로 사용된 강시에서 유래하여 강시판(鋼矢板)이라고 부른다. 형상에 따라 홈평(U형), 직선형, Z형 등이 있다. 두께가 절단면 보다 얇아서 압연기술이 어려운 품종이다. KS F4604에는 열간압연강널말뚝(hot rolled steel sheet piles)을 규정하고 있다.

강재

① (鋼滓 : slag) 제강로에서 강을 정련할 경우 용강 표면에 생성되는 금속 혹은 비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다성분계 물질을 강재, 또는 슬래그라고 한다. 이것은 장입재 중의 Fe, Si, Mn, P 등의 산화에 의해 생성된 산화물, 철광석, 매용제 및 내화물 등의 용융물인 SiO2, CaO, FeO, MnO, MgO 및 기타 산화물의 혼합물이다.
강재는 산화제로서의 FeO나 Fe2O3를 운반하는 매개자 역할을 하며 용탕을 노 내의 산화성 분위기와 격리시켜 용탕가스 흡수나 과산화를 방지하는 외에, 장입물내 불순물의 산화생성물인 SiO2, MnO, P2O5 및 원연료 중의
S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② (鋼材 : steel products) 강에 압연, 단조, 프레스 또는 주조 등의 방법으로 제1차 성형가공을 한 철강제품의 총칭. 수량적으로는 압연 제품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강재라고 하면 압연강재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또한 2차, 3차 가공된 철강 2차 제품과 구별해서 철강 1차제품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단조 또는 프레스한 것을 단강품 혹은 주강품이라고 한다. 강괴는 포함하지 않는다. ☞ 압연강재

격외품

정해진 재질, 치수 등에 함치되지 않는 제품. 강재에서는 규격에서 벗어나는 것을 격락품 이라고 해서 이것을 2급품, 3급품보다 싼 가격에 판매하고 있다.

경납 (hard solder)

경질 땜납이라고도하며, 연질납에 비해서 훨씬 용융온도가 높고(450℃ 이상) 강도가 크며 공업적 납접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융점이 450℃(미국에서는 800℉) 이상인 납재. 동, 은, 알루미늄 중의 어느것인가를 주성분으로 한 것이 많다. 내열성이 요구되는 것에는 니켈을 주성분으로 한 것이 있다.
황동납, 은납, 양은납 3종이 있다. ☞ 땜납.

고선 (古銑)(iron scrap)

용해 원료로서 다른 곳에서 주입한 주철 폐품. 예를 들면 롤, 주형, 각종 기계류의 노폐화된 것을 가리킨다.

고철 (steel scrap, iron scrap)

용해 원료로서 다른 곳에서 구입한 주철 폐품. 예를 들면 롤, 주형, 각종 기계류의 노폐화 한 것 등. ☞ 가공고철, 노폐고철, 자가발생고철.

급외품

수요가의 주문분을 생산하기 위한 생산과정에서 주문조건을 충족치 못해 정품에서 제외된 제품.

기계주물 (machine casting)

기계 부품의 주물. 강도가 클 것, 내마모성, 내수압성이 있고 결함이 없을 것, 절삭성이 좋을 것 등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로에는 충분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납 (연 ; 鉛)

원소 기호 Pb, 원자번호 82, 원자량 207.21, 비중 11.3. 주로 방연광 (方鉛鑛)으로 산출된다. 회백색의 유연한 금속으로 무겁고 쉽게 용해된다. 융점 327℃. 용도는 연판, 연관, 축전지의 전지 등에 쓰인다.

내열강 (heat resisting stee)

고온에서의 각종 환경에서 내산화성, 내고온 부식성 또는 고온강도를 유지하는 합금강. 수% 이상의 크롬 외에 니켈, 코발트, 텅스텐, 기타의 합금원소를 함유하는 수가 많다. 주로 그 조직에 따라서 마르텐사이트계, 페라이트계, 오스테나이트계 및 석출경화계의 4가지로 분류된다. 또한, 합금원소의 총량이 약 50%를 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초내열 합금, 또는 내열합금 혹은 단순히 초합금이라 부른다.
따라서 내열강의 개념은 무수한 강종으로 나누어져 있어 350~650℃ 정도에 사용되는 보일러등 기타 보온기기용 합금강, 일반 스테인리스강 강질 (STS 304, 430, 410 등)부터 고온용도(700~1,150℃ 정도)로는 내열 기관의 밸브, 배기 터빈의 연소실 등에 이용되는 고 Si-Cr계, 고 Cr-Ni계, 그리고 SUH 661(LCN-155)와 같은 철심보다 합금 원소가 많은 Cr-Ni-Co 합금(Cr, Ni, Co 을 각 20% 함유)등이 포함되어 있다.

노폐고철

이미 유용성이 소멸되어 소유자로부터 처리된 철강 폐기물로서 재사용에 적합하도록 가공처리되는 고철을 말한다.
이 고철은 전국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산재되어 있으며 상이한 경제가치기준을 가지고 있다.
노폐고철의 발생은 대부분이 폐기자동차, 가구류, 철도부문, 기계, 선박, 건축자재, 파괴공사, 기타 소비자용 및 공업용 제품의 폐품 등에서 발생되고 있다. 발생원과 발생지역이 광범위하게 산재하고 있으므로수집과정에서 미회수 되거나 비경제적은 고철은 수집을 기피하게 되어 폐기물이 되는 경우가 많다. 자본고철(capital scrap)이라고도 한다.

니켈크롬강 (nikel chromium steel)

Ni 1.0 ~ 3.5%, Cr 0.5 ~ 1.0% 를 함유하는 구조용강. 크롬, 니켈은 담금질성을 향상 시키는 첨가원소이나, 니켈을 이 정도 함유함으로 해서 뜨임 상태에서의 기계적 성질이 안정되므로 옛부터 사용되고 있는 강인강이다. 단, 니켈이 들어가서 가격이 비싸지므로 담금질성이 특히 요구되는 대형에 사용된다. 18-8강 등의 스테인리스 강도 물론 니켈, 크롬강인데 일반적으로는 위와 같은 구조용강을 가리킨다.
즉 광의의 니켈, 크롬강은 니켈과 크롭을 함유하는 특수강 전부를 의미한다. 또한 저니켈계는 구조용, 고니켈계는 특수 용도용으로서 상용되어 니켈 단독강에 비해 연성을 그다지 저해하지 않고 인장강도와 항복점이 높아져서 담금질성이 향상된다.
고 니켈강은 특히 내식, 내열성이 우수하다.

니켈크롬주강 (Ni-Cr steel casting)

Ni-Cr 주강은 저합금 주강으로서 많이 사용되는 재질로 니켈에 의한 강인성과 크롬에 의한 강도와 경도의 증가 및 그들의 합성 작용에 의한 담금질성의 개선이 특징. 일반적으로 Ni 1.0 ~ 4.0%, Cr 0.5 ~ 2.0%의 조성인 것이 톱니바퀴, 캠, 롤, 사슬 고리 등 강도와 내마모성을 요구하는 부품에 사용된다.

  
         

 

     
 

ㄷ형강 (channels)

단면모양이 ㄷ 형인 형강. ☞ 채널.

다이스강 (dies steel)

KS D 3753 합금 공구강에 통합되어 STD 기호를 붙여서 표시하고 있다. 용도는 드로잉 다이스, 트리밍 다이스, 게이지, 나사 전조 다이스, 프레스형, 다이캐스트형, 압출다이스 등. 냉간 금형용강이 STD1, 11, 12 등 3종류, 열간 금형용강이 STD4, 5, 6, 61, 62 등 5 종류 규정되어 있다.

단강품 (steel forgings)

여러가지 방법으로 만들어진 강괴 또는 강편을 보통 프레스나 헤머 등으로 소성 가공해서 제조한 제품. 일반적으로는 적당한 열처리를 한 후에 기계 가공되어 사용된다. 단조는 성형 외에 조직의 미세화, 단류선이 조정 혹은 내부 틈의 압착등 강의 성상의 개선이 큰 목적이다. 요구 품질이 엄격한 부품에는 단강품이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단조 (forging)

금속을 소성이 있는 상태에서 변형시키는 것. 보통, 압연, 인발에 의한 가공법은 단조라고 하지 않는다. 해머, 수압기 등으로 가공하므로 단조품이라든가 자유단조품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단조의 목적은 형을 만드는 것. 성장한 결정 입자를 파괴해서 인성을 부여하는 것(단련이라고도 한다)으로 재료의 낭비를 없애고 양질의 기계적 성질을 만들어내기 위한 것이다.

단조품 (as forged products)

흑피품이라고도 하며 단조 성형된 채로의 형상인 것.
대형 단강품에서는 균열방지 등을 위해 어닐링이나 노멀라이징한 후 템퍼링이 행해진다.

동(구리) (copper)

원소기호 Cu, 원자번호 29, 원자량 63.54, 천연으로 유리되어 산출되는 (자연동)경우도 있지만 광석에는 황동광, 유동광, 공작석 등이 있다. 동의 원료는 주로 황동광(CuFeS2)이다. 파쇄한 황동광을 구우면 이산화유황을 배출하고 산화철과 유화동의 혼합물을 생성시킨다. 이를 반사로에 넣어 가열하면 산화철은 광석내에 함유돈 이산화규소와 화합 용융해서 규산염이 되어 위쪽으로 뜨고, 유화동 (일부 Cu2O를 함유한다)은 용융되어 아래로 가라앉는다. 용광로를 이용해 같은 식의 반응을 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전로에 넣고 공기를 불어 넣으면 이산화 유황을 배출해 동이 된다. (2Cu2S+3O2=2Cu2O+2SO2)(Cu2O+Cu2S=SO2+6Cu) 이것을 틀에 넣어 고화시킨 것을 조동이라고 하고 이를 양극으로 황산동의 황산용액을 전해액으로써 정해하여 전기동을 만든다. 이렇게 해서 공업적으로 얻어진 동지금은 순도 99.30~99.94% 이상으로 특수한 가스 하에서 밀폐 주형에 주입하면 99.98%의 것을 얻을 수 있다.
동은 적색 금속으로, 융점 1,083℃, 비점 2,630℃, 비중 d20=8.93, 8.3(액체 1,083℃). 전성, 연성이 풍부하다. 열과 전기의 전도율은 금,은 다음으로 크다. 쉽게 산화되지 않으며, 산화하면 Cu2O, CuO 가 된다.
할로겐, 유황, 셀렌과 직접 화합한다. 질소, 수소, 탄소와는 직접 화합하지 않으나 간접으로 화합물을 만든다. 열농유산 및 조산에 녹으며 염산, 희유산 에는 공기중의 산소의 작용에 의해 녹는다. (2Cu+4HCl+O2=2CuCl2+2H2O) 건축용재, 전기의 도선, 이화학용 기계, 일용기구의 제조에 그리고 여러 종류의 합금의 성분, 동화합물의 원료가 된다. 또한 메틸알콜의 공기에 의한 산화, 에틸알콜의 탈수소, 가터맨반응의 촉매가 된다.

드로스 (dross)

금속이나 용융 도금을 할 때, 표면 또는 바닥부에 발생하는 이물질(앙금)을 말한다. 금속의 산화물 또는 금속간 화합물이 주성분이며 이에 불순물의 산화물을 함유하고 있다.

땜납 (solder)

납땜용합금. 연(질)땜납과 경(질)땜납이 있으나 보통은 연(질)땜납을 뜻한다. Sn-Pb합금으로 융점이 낮고 작업하기도 요이하므로 연관류의 접합, 식기류, 기타 판금가공 등에 널리 사용된다.

  
         

 

     
 

망간 (mangan ; manganese)

주기표 제Ⅶ 족의 천이원소의 하나. 원소기호 Mn, 원자번호 25, 원자량 54.938, 안정 동위 원소의 질량수 55, 방사성 동위원소 4종류. 천연에는 단체로 존재하는일이 없고 산화물, 규산염, 탄산염, 수산화물 등의 광물로서 존재하며 갈망간광, 수망간광, 능망간광, 연망간광이 있다. 대별하면 금속 망간과 이산화망간으로 이분할 수 있으며, 철강용으로는 금속 망간을 사용하고 Mn의 함유량에 의해 평가된다. 사용량의 대부분은 페로얼로이용으로 나머지가 제선, 제강용으로 사용된다. 또 이산화망간이라고 불리는 광성은 화학 공업용이다. 품위적으로는 MN 35%이상인 고품위광은 페로망간 생산 및 제강용으로사용되고, Mn35% 이하인 것은 실리콘망간 및 제선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화학 공업용(약품, 건전지 등)으로는 MnO2 65~80%인 광석이 사용된다.

무계목 강관 (seamless steel tube)

이음매가 전혀 없는 강관. 강괴, 강편 또는 봉강(관재)을 가열해서 만네스만식이나 에어헐트식 천공기 등으로 구멍을 뚫어 두껍고 짧은
중공소재를 제조한 후 이를 압연기 또는 인발기로 얇고 가늘며 길게 연신하여 연신하여 소정의 외경과 두께로 마무리해 만든다.
이 외에 유진 세듀르네 방식에 의한 열간압출, 또는 맨드릴 밀에 의해 생산되는 것이 있다.
보통 열간 마무리를 하는데 특수한 용도의 것은 마무리 공정만 냉간에서 한다. 고압가스관, 고압화학용, 유정용, 군수용에 주로 쓰인다.
☞ 강관

무늬강판 (checkered plates, floor steel plates)

압연롤의 표면에 조작홈을 넣어서 강판의 한쪽면에 미끄럼 방지 등의 모양을 규칙적으로 부각시킨 강판으로 마루용 강판 또는 체크드강판이라고도 한다.

  
         

 

     
 

미국고철규격

미국 고철 협회 IRS(Institute of Scrap Recycling Industries Inc.)에서 채용하고 있는 미국 고철의 규격. 아래와 같이 품종별로 각기 규정하고 있다.
◎ <염기성 평로, 산소전로, 전기로 및 용광로용 품종>
▶No. 1 헤비 용해용강(ISIS 코드 No.200) 4분의 1인치 두께 이상의 노폐선철 또는 노폐강 스크랩. 단편은 장입 처리가 쉽도록 처리된60X24인치(장입박스의 치수)를 넘지 않을 것.
▶No. 1 헤비 용해용강 3ft.X18ft. (No.201) 4분의 1인치 두께 이상의 노폐선철 또는 노폐강 스크랩. 단편은 장입 처리가 쉽도록 처리된36인치X18인치(장입박스의 치수)를 넘지 않을 것.
▶No. 1 헤비 용해용강 5ft.X18ft. (No.202) 4분의 1인치 두께 이상의 노폐선철 또는 노폐강 스크랩. 단편은 장입 처리가 쉽도록 처리된 60인치X18인치(장입박스의 치수)를 넘지 않을 것.
▶No. 2 헤비 용해용강. (No.203) 8분의 1인치 이상의 두께의 生地(표면 가공전) 및 아연도금한 노폐선철 또는 노폐강 스크랩. 장입박스 치수로, No. 1 헤비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을 포함한다. 장입처리가 좋도록 처리되어 있을 것.
▶ No. 2 헤비 용해용강. (No.204) 최대치수 36X18인치의 生地(표면 가공전) 및 아연도금한 노폐선철 또는 노폐강 스크랩. 특별히 처리된
자동차 조각을 포함시켜도 좋다. (注) 같은 명칭이 붙어 있는 것은, 이미 확립되어 있는 산업계의 실정에 따른 것이다.
▶ No. 2 헤비 용해용강 3ft.X18ft. (No.205) 최대치수 36X18인치의 生地(표면 가공전) 및 아연도금한 노폐선철, 강 스크랩. 특별히 처리된자동차 조각을 포함시켜도 되지만, 박철판이나 두께가 얇은 것이 섞여서는 안된다.
▶ No. 2 헤비 용해용강 5ft.X18ft. (No.206) 최대치수 60X18인치의 生地(표면 가공전) 및 아연도금한 노폐선철, 강 스크랩. 특별히 처리된 자동차 조각을 포함시켜도 되지만, 박철판이나 두께가 얇은 것이 섞여서는 안된다.
▶No. 1 부셸링 (No. 207) 어느 변이나 12인치 이하인 깨끗(청정)한 강 스크랩으로 공장 발생의 신단 조각(예를 들면 박판의 클리핑, 스태핑 조각 등)을 포함한다. 폐 자동차의 차체나 펜더.스톡의 혼입은 바람직하지 않다.
금속피복, 라임드, 유리에나멜 가공, 0.5% 이상의 규소를 함유하는 전기강판이 섞여서는 안된다.
▶No. 1 번들(No. 208) 신 生地 박강판 스크랩, 클리핑 스크랩, 또는 스켈톤 스크랩을 장입 박스 치수로 기기 조임 혹은 손조임한 것으로, 1입방피트당 중량이 75파운드 이상이라야 한다. (손조임인 경우는 마그네트 취급이 가능하도록 확실하게 조이지 않으면 안된다.)
확실하게 조이면 스텐레이 볼, 맨 드릴 우드 번들 또는 스켈톤 릴말이도 인정된다. 화학적 방법으로 탈주석한 재료를 함유해도 된다.
폐자동차의 차체 또는 펜더.스톡의 혼입은 바람직하지 않다. 금속피복, 라임드, 유리 에나멜, 0.5% 이상의 규소를 함유하는 전기강판이 섞여서는 안된다.
▶ No. 2 번들(No. 209) 낡은 生地 및 아연도금 박강판 조각을 장입 박스 치수로 수압하고, 1입방피트당 질량은 75파운드 이상.
주석 또는 납피복, 또는 유리에나멜 가공한 재료는 바람직하지 않다.
▶ 슈레디드 스크랩 (No. 210) 자동차, 미처리인 No.1, No.2강 스크랩, 잡 스크랩 프레스, 박판 조각의 재료를 마그네트 선별로 균질화한 선철 강조각. 평균 부피 비중은 1입방피트당 파운드.
▶ 슈레디드 스크랩 (No. 211) 자동차, 미처리인 No.1, No.2강 스크랩, 잡 스크랩 프레스, 박판 조각의 재료를 마그네트 선별로 균질화한 선철 강조각. 평균 부피 비중은 1입방피트당 70파운드.
▶ 슈레디드 클리핑 (No. 212) 1000 시리즈 탄소 강 클리핑(오려내기) 또는 박판 슈레더 가공 스크랩. 평균 부피 비중은 1입방피트당
60파운드여야 한다.
▶ 재용해용 슈레디드 틴 깡통 (No. 213) 주석피복 또는 주석이 들지 않은 강 깡통을 수레더 가공한 강 스크랩. 깡통 상부에 있는 알루미늄 부분의 혼입은 허용되지만, 본체가 알루미늄캔이나 본래 캔에 사용된 것 이외의 비철 금속이나 어떠한 비철 금속류도 혼입되어서는 안된다.
▶ No. 3 번들 (No. 214) 장입 박스 치수로 프레스한 노폐 박강판으로 1입방피트당 질량이 75파운드 이상. No. 2 번들에 적합하지 않은 모든 피복철 조각을 포함 시켜도 좋다.
▶ 소각로번들 (No. 215) 장입 박스 치수로 프레스한 주석 도금 깡통으로, 1입방피트당 질량이 75파운드 이상.
공인된 폐물 소각로에서 처리된 것.
▶ 턴플레이트 번들 (No. 216) 신품 턴강판(납.주석의 합금 도금) 스크랩. 클리핑 또는 스켈튼 조각을 장입 박스치수로 기계 조임 또는 손조임해서, 1입방피트당 질량이 75파운드 이상(손조임의 경우는 마그네트 취급이 가능하도록 확실하게 조이지 않으면 안된다.)
확실하게 조이며, 스탠레이 볼, 맨드릴 우드 번들 또는 스켈튼 릴말이도 인정된다.
▶ 번들드 No. 2강 (No. 217) 8분의 1인치 두께이상의 노폐선철.강 스크랩을 장입 박스 치수로 프레스한 1입방 피트당 질량 75파운드 이상인 번들. 어떠한 금속 피복 재료도 혼입되어서는 안된다.
▶ 번들드 No. 2강 (No. 218) 8분의 1인치 이상의 두께의 生地 또는 아연도금 의 노폐선철. 강 스크랩을 장입 박스 치수로 프레스한 1입방 피트당 질량 75파운드 이상인 번들. 소각하던가 손으로 벅신 자동차의 차체, 펜더 샤프트, 스톡은 최대 60% 질량까지 포함해도 된다.
(이 비율은 삿슈, 드라이브 범퍼가 차체 구성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의거하고 있다.) 자동차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 이외의 어떤 피복재도 혼입되어서는 안된다.
▶ 머신 숍 터닝스 (No. 219) 청정한 강 또는 고선철 절삭분. 선철 보링 스크랩, 단독의 비철 금속, 스케일 또는 오일이 과도하게 섞여 있어서는 안된다. 심하게 녹이 슬거나 부식된 재고품은 바람직하지 않다.
▶ 머신 숍 터닝스 앤드 아이언 보링스 (No. 220) 앞의 항목에 있는 머신 숍 터닝스에 선철 보링스 조각이 혼입되어 있는 절삭분.
▶ 쇼베링 터닝스 (No. 221) 청정한 강 또는 고선철의 절삭분, 드릴링 부스러기 또는 스크류에서 나온 부스러기. 크레쉬나 레이크, 기타 처리를 거친 절삭분도 포함된다. 튕기거나, 서로 얽혀 있거나, 꼬이거나, 엉겨붙은 것, 보링 철분, 단독 비철, 스케일, 그라인드 가루 또는 과도하게 많은 오일이 섞여 있어서는 안된다.
▶ 쇼베링 터닝스앤 아이언 보링스 (No. 222) 위의 쇼벨링.터닝스와 보링 스크랩이 섞인 것.
▶ 아이언 보링스 (No. 223) 청정한 주철 또는 가단 주철의 보링스 조각 또는 드릴링 부스러기. 단 강 절삭분, 스케일, 엉겨붙은 것 및 과도하게 많은 오일이 혼입되어서는 안된다.
▶ 오토슬래브스 (No. 224) 청정한 자동차 스크랩을 3ft.X18인치 이하로 절단한 것.
▶ 오토슬래브스 (No. 225) 청정한 자동차 스크랩을 2ft.X18인치 이하로 절단한 것.
▶ 밀 스케일 (No. 228) 열간 작업줄에 강 표면에 생긴 자성 산화철로, 청색과 흑색의 중간색을 띠고 있는 것.

◎ < 전기로 주조 및 주강로 용 품종>
▶ 빌릿, 블룸, 단조 크롭스 (ISIS 코드 No.229) 인 또는 유황이 0.05% 이하, 규소 0.5%이하, 합금을 함유하지 않은 빌릿, 블룸, 차축, 슬래스, 후판 및 중단조 크롭, 2인치 이상, 폭 18인치 이하, 길이 36인치 이하.
▶ 봉크롭 및 후판 스크랩 (No. 230) 인 또는 유황이 0.05% 이하, 규소 0.5% 이하로 합금을 함유하지 않은 봉크롭, 후판 조각, 단조한 것, 빌릿 및 공작기 조인트. 치수는 2인치 두께 이상, 폭 18인치 이하, 길이 36인치 이하.
▶ 후판 및 구조용강(P&S) 5ft. 이하인 것 (No. 231) 5피트 이하인 절단 구조물 및 후판 조각(P&S). 청정한 평로강 후판, 구조용 형강, 크롭 엔드,
시어링 조각 또는 파쇄한 강 타이어. 치수는 4분의 1인치 두께 이상, 길이 5피트 이하, 폭 18인치 이하. 인 또는 유황분 함유는 0.05%이하.
▶ 후판 및 구조용강(P&S)5ft. 이하인 것 (No. 232) 폭이 24인치 이하. 기타 요건은 No. 231과 동일.
▶ 주강 (No. 233) 길이 18인치 이하, 폭 18인치 이하 및 두께 4분의 1인치 이상인 주강. 0.05%를 넘는 인 또는 유황분을 함유하지 않을 것. 합금 및 부속물이 없을 것. 헤드, 게이트, 라이저를 포함시켜도 된다.
▶ 펀칭 및 후판 스크랩 (No. 234) 인 또는 유황이 0.05% 이하, 규소 0.5% 이하로 합금이 섞이지않은 펀칭 스크랩, 스탬핑 스크랩, 후판 스크랩 및 봉크롭 모두 12인치 이하고 절단 펀칭 스크랩과 스태핑 스크랩 이외에는 적어도 8분의 1인치의 두께가 되어야 한다. 직경이 6인치에 달하지 않는 펀칭 스크랩 또는 스탬핑 스크랩에 대해서는 두께를 묻지 않는다.
▶ 전기로용 번들 (No. 235) 신품 生地 박강판을 수요가가 정한 치수와 질량으로 프레스한 번들.
▶ 절단한 구조물 및 후판 스크랩 3ft. 이하인 것 (No. 236) 청정한 평로강 후판, 구조 형강, 브롭 엔드, 시어링 스크랩 또는 파쇄한 강 타이어. 치수는 4분의 1인치 두께 이상, 길이 3ft. 이하, 폭 18인치 이하. 인 또는 유황분이 0.05% 이하.
▶ 절단한 구조물 및 후판 스크랩 2ft. 이하인 것 (No. 237) 길이가 2ft 이하 기타의 요건은 (No. 236)과 동일
▶ 절단한 구조물 및 후판 스크랩 1ft. 이하인 것 (No. 238) 길이가 1ft 이하 기타의 요건은 (No. 237) 및 (No. 236)과 동일
▶ 실리콘 부셸링 (No. 239) 공장 발생 스크랩(예를 들면 박판의 클리핑, 스크랩 등)을 함유하는 청정한 규소 베어링강 조각. 각 변은 12인치 이하. 스탬핑 규소분 0.5% 내지 5.0%를 함유할 것.
▶ 실리콘 클리핑스 (No. 240) 공장 발생 신단 스크랩(예를 들면 박판의 클리핑, 스탬핑 스크랩 등)을 포함하는 청정한 강 스크랩. 폐자동차의 차체나 펜더 스톡의 혼입은 바람직하지 않다. 금속 피복, 라임드, 유리에나멜 가공 및 최소한 1%의 규소를 함유하는 전기강판이 혼입되어서는 안된다.
▶ 장입 가능 잉곳 및 잉곳 베드 (No. 241) 원료로서 적합하며, 또한 수요가가 허용하는 장입 가능한 잉곳 및 잉곳 스크랩. 인 또는 유황분이 0.05 %이하, 규소분 0.05% 이하, 합금을 함유하지 않을 것.
▶ 주강 2ft.이하 인 것 (No.242) 8분의 1인치 두께 이상. 길이 2ft 이하, 폭 18인치 이하인 강 스크랩. 개개의 스크랩에 부속물이 붙어 있지 않을것. 비철 금속, 주물 선철 또는 가단철, 케이블, 유리 에나멜 가공물 또는 금속 피복물의 혼입은 바람직하지 않다.
▶ 주강 1ft.이하 인 것 (No.243) 길이 1ft.이하, 기타 요건은 (No.242)와 동일.
▶ 스프링 및 크랭크 샤프트 (No.244) 신.구를 불문하고, 청정한 자동차 스프링과 크랭크 샤프트.
▶ 무합금 터닝스 (No.245) 뭉치, 얽힌 것, 선철 보링 스크랩 또는 과도한 양의 오일이 섞이지 않은 청정한 쇼벨링강 절삭분. 인또는 유황분 0.05% 이하. 합금이 혼입되지 않을 것.
▶ 무합금 단쇼벨링강 터닝스 (No.246) 뭉치, 얽힌 것, 선철 보링 스크랩 또는 과도한 양의 오일이 섞이지 않은 청정한 쇼벨링강 절삭분,인 또는 유황성분이 0.05% 이하. 합금이 혼입되지 않을 것.
▶ 무합금 기계 공장 발생 터닝스 (No.247) 선철 보링 스크랩 또는 과도한 양의 오일이 섞이지 않은 청정한 강 절삭분. 인 또는유황성분이 0.05% 이하 합금없음. 심하게 녹이 슬거나 부식된 재고품의 혼입은 바람직하지 않다.
▶ 절단 경질강 30ft.이하 (No.248) 자동차의 리어 엔드, 크랭크 샤프트, 드라이브 샤프트, 앞차축, 스프링 및 기어를 30인치 이하로 처리한 강. 쇼벨로 뜰수 있는 작은 잡강 스크랩 또는 너무 커서 주철로의 사용에 적합하지 않은 조각의 혼입은 바람직 하지 않다.
▶ 장입 가능 슬래브 크롭스 (No. 249) 원료로서 적합하며, 또한 수요가가 허용하는 장입 가능한 슬래브, 크롭, 인 또는 유황분이 0.05%이하, 규소분 0.05% 이하 무합금.
▶ 실리콘 번들 (No. 250) 전기 강판 조각, 클리핑 또는 스켈톤 조각을 장입 상자 치수로 기계 조임 또는 손조임한 번들. 1입방피트당 75파운드 이상의 질량. 규소 함유율은 0.5% 내지 5.0%.
▶ 헤비 터닝스 (No. 251) 짧은 질량강 절삭분. 인 또는 유황분이 0.05% 이하, 무합금. 레일을 깍을 때 생긴 조각을 넣어도 된다. 기계 공장이나 기타의 질량 적삭분은 바람직하지 않다. 발생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1입방피트당 75파운드 이상의 질량이 필요하다.

  
         

 

     
 

선철 (pig iron)

철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은 선철과 강의 양족을 지칭하는 것인데 이 중의 선철은 산화철, 맥석, 불순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철광석을 환원해서 금속철로 만들때 부가되는 망간, 규소, 유황, 인, 그리고 환원제로서 이용하는 탄소가 서로 녹아서 만들어진 것이다. 이 때문에 보통으로 생산되는 선철의 성분은 C 3.0~4.5%, Si 0.2%~3.0%, Mn 0.5%~2.0%, P 0.02~0.5%, S 0.01%~0.1%등이다. 선철은 특히 탄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철 본래의 인성, 가단성을 상실하고 있다.
주조는 용이하며 주물로서 여러 종류의 것이 만들어지지만 무르다. 선철을 정련해서 탄소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면 인성, 가단선을 회복해 강(鋼)이라고 불리는 것이 된다.

스케일

① (scale) 강을 공기 중에서 고온을 쪼이게 하면 강 표면에 철과 산소의 화합물인 산화철이 생성 된다. 강재의 생산 과정에서는 가공을 위해 가열하거나 열간에서의 가공이 행해지는데 그때 강재 표면에 생기는 산화철을 스케일이라고 한다. 또 가열 중에 생기는 스케일을 1차 스케일, 압연중에 생기는 스케일을 2차 스케일로서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② (로크웰경도의) (scale (Rockwell hardness scales)) 로크웰 경도시험에 있어서는 압자의 종류, 기준하중, 시험하중 및 경도의 정의식 HR-a-bh 에 있어서의 정수 a,b 의 조합에 따라 정해져 있는 경도의 척도. 스케일마다 고유의 부호가 붙여져 있다. 철강의 경도시험에 흔히 쓰이고 이쓴 스케일은 기준 하중표와 같다. ☞ 기준하중.

스크랩쵸퍼 (scrap chopper)

스트립 코일이나 후판의 트리밍 시어에서 나오는 복이 좁은 스크랩을 소편으로 절단하는 전단기. 트리밍 시어의 하부에 위치하여 로터리식이나 갤럽식(더블 크랭크) 플라잉 전단기가 일반적이다. 스트립 코일의 경우에는 트리밍 시어에서 동력을 얻고 있으며 플라이 휠을 갖추고 있다. 함석판재 등의 박물에서는 스크랩 볼러(scrap baller)로 말아서 처리하는 예도 있다.

스테인리스강 (stainless steel)

스테인리스란 녹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뜻으로 불수강(不銹鋼)이라고도 한다. 크롬만으로 된 스테인리스강과 크롬니켈스테인리스강이 있는데 후자는 18% Cr- 8% Ni인 18-8스테인리스강이 대표적이다. 내식성, 내산화성, 내열성이 뛰어나며 또한 기계젹 강도, 가공성, 용접성도 모두 양호하다. 화학용, 식품용, 건축용을 비롯해 가정용품에서부터 원자력공업, 우주산업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KS에서는 스테인리스강의 규격을 규정하고 있다. 강종 기호는 대표적으로 STS 304(18-8 표준강), STS 430 (18-8 크롬 표준강), STS 410(13 크롬 표준강)과 같이 사용한다.

슬래브 (slab)

후판, 핫 스트립의 소재로서 사용되는 반제품이다. 강괴나 블룸을 분괴 압연기, 슬래브 압연기, 혹은 강연 압연기에 걸어서 만든다. 슬래브의 치수는 차공정의 압연에 있어서 우수한 능률이나 수율, 제품 형상을 얻을수 있도록 조정되어 두께 50~350mm , 폭 350~2,000mm, 길이 1~2m이다. 철강업의 대형화, 고능률화에 따라 슬래브 치수도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다.

수중노폐스크랩

철강 제품이 사용 불능한 상태에서 회수되고 고철로써 구입의 대상이 된 것을 말한다. 미국에서는 obsolute scrap, 구미에서는 capital scrap이라고 부르고 있다. 주로 용해용으로 사용된다.

신철 (rerolled steel)

재생강재, 지상 건물의 철조각, 노후선, 건물의 해체재, 반 완성품, 강재의 발생품 등을 재료로 간단한 소형 압연기를 갖추고 소형봉강, 평강, 등변 앵글 등을 제조하는 소규모 압연업체(신철업체, 재압연업체)가 우리나라에는 수십개가 있어, 그 제품을 신철 또는 재생 강재라고 한다. 비교적 소자본으로 할 수 있으므로 강재 가격이 급등하는 호황기에 줄이어 생겨나 불황기에도 저렴한 철조각과 저임금으로 뿌리깊은 경쟁력을 갖는다. ☞ 재생강재.

  
         

 

     
 

압연 (rolling)

압연이란 회전하는 2개의 원통형 롤 사이에서 행해지는 소성 가공이다. 단조, 압축, 인발 등의 가공에 비해 압연은 비교적 단순한 형상의 제품을 능률적으로 만들수 있는 매우 우수한 가공법이다. 압연 가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는 재료의 종류와 상태, 롤과 재료의 표면 상황, 윤활제, 롤 구경, 전후면 장력, 소재의 치수와 형상, 압연 후의 재료의 치수와 형상, 공형 압연시에는 공형의 치수와 형상, 압연 온도, 속도, 롤, 하우징의 탄성적 특징 등을 들 수 있다.

앵글 (angle)

단면이 산(^)모양을 하고 있는 형강. 형강의 기본적인 품종으로 플랜지(변)의 등. 부등, 두께의 등.부등 등에 따라 등변앵글,부등변앵글, 부등변부등후 앵글 등의 종류가 있다. 주로 건축 및 철구조물용으로 사용된다.

옥타늄 (Octanium)

Co 40%, Cr 20%, Ni 15.5%, Fe 15%, Mo 7%, Mn 2%, C 0.15%, Be 0.03%의 합금을 말하는 것으로 열팽창계수가 작고, 바자성, 내식, 내피로성이 좋다. 인장강도가 약 2,549N/mm^2 로 소형 용수철, 만년필요펜, 외과용 기구 등에 사용된다.

인바아 (invar)


상온에서의 선팽창 계수가 상당히 작다. (보통 철의 약 10분의 1로, 0.9X10^-5 정도) Ni 36%, 나머지는 Fe인 Fe-Ni 합금. 표준척이나 측량척, 바이메탈, 시계추, 기타 계측기의 재료로 상용된다. 이 형의 합금으로서는 여기에 Co 5% 를 첨가한 초불변강이 있다.

  
         

 

     
 

자가발생고철 (home scrap, return scrap)

제강공장 또는 철강재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고철로서 대부분 강괴(ingot), 블룸(bloom), 빌릿(billet), 파이프(pipe), 봉강(bar) 등의 양단절단, 용강의 흘림(spills), 흐름(runnings), 판재의 절단(plate shearing), 강판의 측면절단(trimming), 탕도강(gate), 압탕(riser), 불합격품, 스케일 등이다. 별도의 가공처리나 유통거래 없이 대부분 전량 회수, 사용되고 있으며 그 발생량은 제강공장이나 주물공장의 용해량과 최종 제품의 양에 정비례한다. 이를 환원고철(return scrap)이라고도 하다.
☞ 환원고철.

저온용강 (low temperature steel)

저온을 이용하는 공업의 저장 탱크나 운반용기, 선박(탱커), 육상 구축물 등의 재료에 적합한 강종을 총칭해서 일컫는 말. 일반적으로 강재는 온도가 0℃ 이하로 저하되면 될수록 물러져서 파괴되기 쉬워지므로 저온에서의 강도나 인성을 유지하기 위해 합금원소, 특히 니켈의 함유량을 높인 강종을 말한다.

제강

① (製鋼) (steel making) 철(鐵)로부터 강(鋼)을 만드는 공정을 말하며 직접제강법과 간접제강법이 있다. 철광석으로부터 금속철(金屬鐵)을 만드는 경우에 환원제로 탄소(C)를 사용하지 않던가 또는 탄소를 사용해도 저온에서 환원을 행하여 탄소의 흡수를 적게하면 바로 강(鋼)조성의 철로 할 수 있다. 이것을 직접제강법 (直接製鋼法)이라 한다. 직접제철법은 직접환원제철법이라 하며, 저온 환원의 경우는 불순물의 환원혼입이 적고 양질의 철을 얻을 수 있으나 환원철은 고체 또는 반용융상이기 때문에 슬래그의 분리가 불충분하며 그 제거와 합금첨가 때문에 용융시켜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강의 정련은 필요없으며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 저온환원이기 때문에 설비는 소규모로 되지만 대량생산에는 미해결점도 많다.
탄소에 대신되는 환원제로서의 H2는 염가로 이용되는 기술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고로제철법(高爐製鐵法)과 같이 철광석을 탄소로 고온에서 환원하여 용융철로 취출(取出)하는 경우에는 생산성은 극히 좋은나 탄소함유량이 높은 선철 조성의 철이 된다. 이 선철을 중간 생성물로하여 그 중의 탄소를 제거하여 강을 만드는 2단방식이 간접제강법(間接製鋼法)이다. 간접제강법에서 선철로 부터의 탈탄정련은 1,250℃이하의 고체상태나 1,450℃이하의 반용융상태의 것은 슬래그의 분리가 어렵고 강질도 균일성이 결여되며 또 한 시간과 노력을 요하고, 양산에 부적합하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고온을 얻기 어려운 시대에는 할 수 없는 방법이었으나 현재로서는 거의 용융정련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품질상의 특성을 고려하는 특별한 경우에는 저온정련으로 행할 때도 있다.
간접제강법은 용융탈탄 정련기술이 확립된 오늘날에 있어서는 생산성, 경제성 및 제품품질의 안정성으로 보아 한층 우위에 있으며, 강은 거의 이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소규모이고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지역적으로 유리한 경우도 있어 그 개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간접제강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철을 중간체로 한 제강법이나 넓은의미로 강설(steel scrap) 또는 철설의 재용해정련도 포함시킨다.
② (製綱) (closing) 와이어로프의 꼬임 공정중의 하나로, 여러가닥의 선을 꼬아서 만든 스트랜딩(stranding)와이어를 다시 여러가닥 모아서 최종 규격으로 꼬는 작업을 말한다. 제강에서는 포밍(forming)작업과정을 거침으로써 균일하고 잘꼬인 와이어로프를 만드는데 주의를 요한다.

제관작업 (canning)

철판재료를 원통모양으로 굽히고 경판을 타출성형하여 리벳이음이나 용접으로 접합한 다음 여러가지 부품들을 결합시키는 작업.

제련 (smelting)

광석이나 기타 원료로 부터 함유금속을 추출해서 정제하는 야금학적 반응 조작.

주강 (cast steel)

용강을 주형에 주입해서 원하는 형상과 치수의 제품으로 만든것으로, 주철에 비해 강도, 점도가 크고, 격한 힘이 가해지는 기계 구조물의 부분으로서 이용된다. 재질별로는 보통주강과 합금주강으로, 용도별로는 일반 구조용, 내마모, 내식, 내열용으로 대별된다. 또한 주조법으로서는 사형주조, 셸목드, 원심주조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주강의 특징은 ① 형상이 복잡한 제품을 만들 수가 있다. ② 조직적인 방향성이 없다. ③ 인성이 크고 변동, 충격 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④ 용강을 직접 제품화하는 것으로 압연, 단조 등의 경우에 비해 생산 공정이 생략되어 경제적이다.

주강품 (steel-castings)

주조한 강을 주혀에 주입하여서 필요한 모양의 제품으로 한 것. 주조한 상태로는 조직이 취약하기 때문에 주강품에 대해서는 풀림을 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 와서 합금주강으로 고망간강, 니켈, 크롬강 등이 제조되고 있다.

주조 (casting)

금속 가공법의 일종으로 금속을 용해해서 주형에 흘려넣고, 굳은 후에 꺼내어 제품화한다. 역사적으로는 기원전 2000년경 이미 청동기의 주조가 행해졌다. 현재 주조 제품은 공작기계, 원동기, 펌프, 트랙터 등, 근대 산업에 이용되는 모든 기계의 부품으로서 중요한 비중을 지하고 있다. 주조는 단조에 비해, 복잡한 형상인 것이나 대형인 것을 간단하고 빨리 만들 수가 있고, 가공 비용도 저렴 하지만 제품의 긱적 성질이나 신뢰성 면에서 다소 뒤떨어진다. 주조에 이용되는 금속 중에 보통주철은 주로 큐폴라에서 용해되며, 가단주철, 합금주철, 구상흑연주철 등은 전기로에서 용해된다. 주형을 만드는 데에 사용되는 모형은 주로 나무나 금속으로 만들어지지만, 납을 이용하는 정밀주조법도 행해지고 있다. 주형을 만드는 재료로서는 천연으로 산출되는 산모래, 바다모래, 규사나 인조사 및 그 점결제로서 내화점토, 밴트나이트, 합성주시 등이 이용되며, 금속제의 주형도 많이 사용된다. 이들 주형을 능률적으로 제작하기 위해 몰딩머신이나 샌드슬링거 등의 기계가 사용되며, 보다 정밀한 주물을 대량으로제조할 목적으로 다이케스트, 인베스트먼트 주조법, 가스형 법, 셀몰드, 쇼오프로세스 풀몰드, 프르이드 셀프 하드닝 믹스쳐법 등의 특수 제조법도 행해지고 있다.

주철 (cast iron)

철과 탄소의 합금으로 탄소 2.0% 이상 6.88%이하인 것을 말하는데, 실용적으로는 탄소가 2.5 ~ 4.5% 범위로 규소, 망간, 인, 유황 등도 함유하고 있다. 강보다 주조성이 좋으나 기계적인 강도는 떨어진다. 내마모성, 절삭성, 감쇠능 등은 우수하다.

주철관

주물용 선철 또는 여기에 강을 배합하여 제조한관으로 형태에 따라 직관과 이형관으로 분류하며 상하수도, 배수관 등에 주로 사용된다.

  
         

 

     
 

철강축적량

한 경제단위내에서 과거부터 현재까지 사용.축적된 철강재(주물포함)의 총량을 철강축적량이라 한다. 철강재의 생산, 소비, 직간접 무역, 고철발생 등 강재유통 및 철강공업수준을 파악하고 장기수요예측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조사방법은 micro 방식과 macro 방식이 있다. micro 방식은 건축물, 기계 등, 강재 품목별 현재량 또는 누적투자액, 내수누계액 등에 철강원단위를 곱하여 계산한 축적량을 정산하여 추정하고, macro 방식은 생산량에서 직간접 수출입을 가감하고 고철발생량을 제외하여 추정한다. 한국 철강협회에서도 macro 방식에 의해축적량을 산출하고 있으며 일본도 동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즉, 철강축적량 = 생산 + 수입 - 수철 - 가공고철 - 노폐고철 - 회수불능손실.

  
         

 

     
 

캐스트 아이언

No. 1 (cast iron No. 1) 미국 철도고철규격. 종류가 다른 재료를 제외한 20인치X30 인치의 큐폴라 사이즈로, 무게 150 파운드 이하로 절단한 원주 파이프, 후판, 기타 주철조각. 여기에는 스토브판, 브레이크 슈 및 녹슨 것은 들어가지 않는다.
No. 2 위와 같은 고철로 무게 150 파운드 이상 500파운드 이하인 것. 녹슨 주철은 들어가지 않는다.
No. 3 위와 같은 고철로 무게 500파운드 이상인 것. 실린더, 시동 바퀴, 또는 기타 주물을 포함하는데, 주철 망치는 넣어서는 안된다. No. 4 위와 같은 고철. 스토브 부품 또는 기타 녹슨 주철 조각.

캐피탈스크랩 (capital scrap)


자본 고철 ☞ 시중노폐스크랩.

케이모넬 (K-monel)

조성이 Ni 63%, Cu 30%, Al 3.5%, Fe 1.5%로, 알루미늄을 모넬합금에 첨가해서 석출경화성을 갖게 한것. 장시간의 시효경화처리에 의해 모넬보다 높은 인장강도와 경도를 갖는다.

코로넬 (corronel)

Ni 66%, Mo 28%, Fe 6%를 함유하는 니켈베이스 합금을 말함. 질산을 제외한 보통 광물산에 잘 견뎌, 화학플랜트 재료로사용된다.

크롬강 (Cr-steel)

중탄소강에 1%전후의 Cr을 첨가한 강으로 담금질성 또는 질량효과의 개선을 꾀한 강종이다. KS D 3703에 SCR 415, SCR 420, SCR 430, SCR 435, SCR 440, SCR 445등 6종이 규정되어 있다.

  
         

 

     
 

터닝스 No. 1 (turnings No. 1)

미국 고철규격. 연철 또는 강제 철도용 차축, 질량이 있는 단조품, 혹은 레일의 절단에서 무게가 1입방피트당 75파운드 이하인 것으로 모든 종류의 다른 이물질이 들어있지 않은 것. 합금고철은 구입자와 판매자 상호 협정에 의해 이 규격에서 제외되는 경우도 있다.

특수강 (special steel)

특수강에 대한 엄밀한 정의는 없으나 우리나라에서 현재,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특수강의 겨념은 KS에서 규정하고 있는 각종 공구강, 기계구조용탄소강, 합금강, 스프링강, 베어링강, 스테인리스강, 내열강, 내식내열합금, 쾌삭강, 피아노선재, 특수강 취급을 하는 고장력강의 각 강질의 해당품, 또는 이에 준하는 강을 총칭하는 것이다. KS 규격에서 특수강으로 간주하고 있는 강종의 특징은 ① 탄소강에서는 보통강에 비해 인, 황, 동 등의 불순물의 함유량이 적다는 것(예-탄소공구강, 기계구조용탄소강, 피아노선재 등), ② 합금강에서 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최소량의 합금원소 또는 특수원소를 함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수강의 개념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합금강 및 고급 탄소강」또는「원칙적으로 열처리를 해서 사용되는 고급강」이라고 할 수가 있다. 또한 미국이나 영국에서는 일본이나 우리나라와 같은 특수강이라는 개념은 없고, 철강통계에서도 강을 탄소강과 합금강으로 나눈다.

티타늄강 (titanium steel)

합금원소로서 티타늄을 함유하는 강으로 종래에는 그다지 중요시 되지 않았으나, 1970년대이후 강의 조직의 세밀화, 탄소, 질소의 고정화 원소로서 인식되기 시작하였으며, 또한 티탄은 자기재료, 불수성, 내열강 등에도 첨가하도록 되었다. 보통 티타늄의 첨가량은 0.5% 이하인데, 티타늄이 너무 많으면 철에 고용되고 나서 물러지기 때문에 특히 저온취성이 문제가 되는 재료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페로니켈 (ferronickel)


니켈은 강에 여러가지 좋은 영향을 주며 대개는 크롬, 몰리브덴 등과 함께 이용된다. 주철에 니켈을 가하면 흑연화가 촉진되고 제(諸)성질이 개선되어 얇은 부분이라도 칠이 들어가지 않게 된다. 내열성이 있어 불감자기주철로도 이용되며 또한 전기 저항이 커서 전기기기의 저항 그리드에 사용된다. 그리고 니켈이 많은 주철은 현저한 내마모성을 보이므로 압연용 롤 등에 이용된다. 또 18-8 스테인리스강의 성분으로서 다량으로 사용된다. KS D 3718 에 규정되어 있다.

프롤러스크랩

미국의 아콤 스틸사의 자회사인 프롤러 스틸사가 제조하기 시작한 스크랩으로, 「자동차의 몸체를 조각낸 스크랩」이라고 불린다. 재료는 종래, 번들조각으로서 취급되던 외장용 몸체인데, 일정한 가공과정을 거치는 사이에 도료, 고무, 목재, 동 등의 불순물은 완전히 제거되고 모양도 더 작게 절단해서 다루기 쉽게 한 것. 미국, 일본 등에서 shareded scrap,영국에서는 fragmentised 라고 불린다.

프리미엄급 (고철의) (premium grade)


No. 1 HMS보다 상질의 스크랩으로, P&S 나 railroad scrap, ship scrap, demolition scrap 등 두께는 1/4인치 이상으로 길이 5피트 이하인 상급 스크랩을 가리킨다. 주로 극동지역의 고로업체들을 포함한 고로업체에 프리미엄을 붙여 판매된다. bonus grade 라고도 불린다.

  
         

 

     
 

합금강 (alloy steel)

강의 성질을 개선. 향상시키기 위하여 또는소정의 성질을 구비시키기 위하여 합금원소를 1종 또는 2종이상 함유시킨 강. 특수강에는 고급 탄소강과 합금강이 있는데, 합금강은 철과 탄소 외에 니켈, 크롬, 망간, 규소, 텅스텐, 몰리브덴, 바나듐, 코발트, 알루미늄, 티타늄 등을 1종 또는 2종이상 함유한 강이라고 정의한다.

함금강 기계가공고철 (alloy free turnings)

미국 고철규격. 인, 유황의 성분이 0.05% 이하로 합금스크랩을 혼입하지 않은 신품의 짧은 선반강칩. 괴상인 것, 꼬인 것, 얽힌 것, 주물에서 나온 파쇄 그리고 오일이 많이 부착된 것은 제외한다.

헤비스크랩 (heavy scrap)

(box section 과 hollow materal 을 제외) 영국의 기준 강조각 분류에 의하면 두께 3/8인치 이상, 5ft.X1인치를 넘지 안는 중량강 스크랩(단, 방형 단면 침 안이 빈것은 제외함)으로 장입상자에 평평하게 놓이도록 길이 6인치 이상의 부속물을 제거 절단한 것. 연철, 합금 및 모든 유해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환원고철 (return scrap)

조강 생산 및 강재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철은 시장에 나도는 일 없이 발생시킨 자 스스로의 손에 의해 바로 재용해 되므로, 이를 환원고철(리턴 스크랩), 또는 영국에서는 순환고철(서큘레이팅 스크랩)이라고 부른다. 제강 조각, 반제품 끄트머리, 미스롤 조각, 압연제품의 전단 조각 등이 그것이다. 황원거철과 호수고철을 총칭해서 자가발생고철이라고 하는데 보통,
단순히 자가발생고철이라고 할 경우는 환원고철을 가리킬만큼 그 양이 많다. 환원스크랩이라고도 표현한다.
☞ 회수고철, 자가발생고철.

회수고철

철강업 내부에서 발생하는 노폐스크립으로 자가노폐스크랩이라고도 한다. 철강공장에서 발생하는 노폐 롤, 노후 잉곳케이스, 가옥, 설비 등을 철거한 폐각품 등이 이에 속한다.

회주철 (gray cast iron)


파면이 재색인 주철. 함유탄소의 대부분이 유리흑연으로서 존재할 경우에 판면이 재색이 된다.
보통주철은 대부분 이에 속한다
☞ 주철.

후판 (plate)


두께 3mm 이상의 강판을 말하는 것으로, 3mm 미만의 박판과 구별된다. 후판 중에서 두께 3mm이상 6mm미만의 것은 특히 중(후)판이라 불린다. 미터법의 실시에 의해 두께, 폭, 길이 모두 mm 로 불리우게 되었으나 정척물의 폭과 길이에 대해서는 이제까지의 관용 때문에 피트(ft.)가 병용된다. 재질에 따라 일반구조용, 용접용, 보일러용, 대(구)경 강관용 등으로 규격을 정해놓고 있다. 또한 용도로는 조선용, 보일러용, 바닥용 이외에 표면 형상이 특수한 무늬판, 후판을 모재로 하는 클래드 강판(접합 강판)이 있다.

9% Ni 강 (9% nickel steel)

영하 200 ℃까지의 극저온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강종으로 1944년 INCO사가 개발한 것. 특징은 종래 이 온도구역에서 사용되고 있던 18-8계 스테인리스강, 혹은 알루미늄 및 그 합금과 비교해서 강도가 높고 가격도 싸다는 것. 대표적인 성분범위는 C 0.13%이하, Si 0.15~0.30 %, Mn 0.90%이하, Ni 8.50~9.50% 이하로 시험 강도는 인장강도 686~823N/mm^2, 0.2%내력은 519N/mm^2 이상. 국내에서는 포항제철이 상용화하여 인천 LNG 기지의 LNG 저장탱크용으로 납품하고 있다.
☞ 저온용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