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혹시 리눅스가 북극 근처 어느 나라에서 만들어진 것이려니 하고 생각했다면 정확히 알고 계신 겁니다. 그리고 펭귄이 리눅스를 대표하는 캐릭터라고 생각해도 무방하구요. 다음 두 캐릭터는 리눅스를 말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들입니다.
리눅스는 우리에게 자일리톨로 잘알려진 나라 핀란드 헬싱키 대학의 대학생인 리누스 토발즈(Linus B. Torvalds)에 의해 1991년 그 시작을 알립니다. 학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대형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유닉스를 PC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만든 것이 현재 리눅스의 모태가 되었습니다.
또 미국의 리차드 스톨만(Richard M. Stallman)이 '모든 소프트웨어는 공개해야 한다'는 생각을 진행하기 위해 FSF(Free Software Foundation)란 단체를 만들어 운영하던 중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해 그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서 사용할 운영체제로 리누스 토발즈가 만든 리눅스를 채택하게 되었습니다.
FSF(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제작한 프로그램(GNU 프로그램)들이 리눅스에서 작동하게 되고, 여기에 동참한 전세계 수많은 해커들이 모여 리눅스 프로젝트는 점차 모양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리눅스는 여러가지 이름으로 제작되기도 하고 GUI 환경인 X윈도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갖추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운영체제로 인정받으면서 공개 프로그램으로 세계 곳곳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개발하고 있는 업체 및 개발자들로부터 수시로 업그레이드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리눅스가 본격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1993년경 부터이며, 386 PC에 PC용 유닉스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미닉스나 제닉스라는 것도 있었지만 X윈도우를 사용하려면 비싼 워크스테이션에서 솔라리스라는 운영체제를 사용해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리눅스는 그 당시에도 X윈도우를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리눅스가 주로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그 때 몇몇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리눅스는 1.2M용 5.25인치 플로피 디스켓 50∼60장씩 이고, 설치 과정에서 물어보는 것도 많았고 힘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곧 CD의 등장으로 자동으로 설치되며, 쉽고 빠르게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CD의 등장으로 본격적으로 리눅스가 보급되기 시작했고 새 버전과 새 이름으로 여러 컴퓨터 잡지 또는 인터넷에서 구하기 쉽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비영리단체에 의한 배포와 배포판업체의 유료배포로 구분됩니다. 예를 들면 데비안과 슬렉웨어가 비영리단체에 의한 배포이며, 한컴리눅스, 레드햇, 수세 등이 배포판업체라고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간혹 리눅스는 공짜라는데 왜 배포판에 돈을 지불해야 하나?하고 의구심이 있는 분들이 있습니다.이해하기 쉽도록 한 일화를 들어 설명 하겠습니다.
어느 집에 모래가 혼자 쓰기엔 너무 많이 있어 주위에 나눠주기로 주인이 결심을 했습니다. 그 소문을 들은 주위 사람들이 리어커 혹은 차를 몰고 와서 가져 갔습니다. 그런데 리어커 혹은 차가 없거나 시간이 없는 사람들은 그 주인에게 부탁을 했습니다. 대신 모래를 운반해줄 수 없냐고?
그렇습니다. 배포판회사는 이와 유사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신의 노력을 가지고 가져갈 수 있는 분들에게는 모든 소스가 오픈되어 무료로 공개되어 있습니다. 단, 매체/매뉴얼/배송/기술지원에 대하여 업체에서 그에 따른 댓가를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오해의 여지가 없을 것입니다. 이에 대한 선택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 ^
유닉스는 윈도95/98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닉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나 관리자는 이런 기능을 배워야 하기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를 배우는 것보다 유닉스가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일 것입니다.
리눅스가 PC용 유닉스로 알려지면서 개인 사용자들도 PC에서 유닉스 운영체제를 맛보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물론 어려웠을 겁니다. 처음 접하는 운영체제였으니깐 말이죠. 그러나 리눅스는 유닉스의 강력한 기능을 갖추면서 MS-윈도처럼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누구라도 손쉽게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재 리눅스 GUI(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모습은 거의 윈도와 흡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터넷이 처음 사용된 운영체제 역시 유닉스였으며 따라서 초기에 연구소나 대학에서 사용했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어렵게 생각했지만 지금은 PC를 사용하는데 기본이 될 정도로 쉬워졌습니다. 이렇게 발전한 이유는 MS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윈도 3.1에서 95로 운영체제를 업그레이드하면서 네트워크 기능을 강화시켰기 때문입니다.
인터넷은 네트워크 기능이 지원되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데, 도스나 윈도 3.1에는 네트워크 기능이 거의 없거나 약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많이 사용되는 운영체제인 윈도98이나 NT는 유닉스의 기능을 많이 가져와 사용하고 있어 강력한 운영체제(OS)로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리눅스는 윈도우98처럼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운영체제이고 똑같은 컴퓨터에서 동작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윈도우98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윈도우98 = 개인용 운영체제
윈도우 NT = 다중 사용자용, 서버용 운영체제 = 리눅스
윈도우98 < 윈도우 NT 윈도우98 ≤ 리눅스
윈도우 NT = 리눅스
리눅스가 윈도우98이나 NT 보다 강하다고 하는 이유는 보통 시스템 다운이라 불리우는 현상이 적기 때문입니다. 또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나서 재부팅하지 않고도 계속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외에도 시스템 사양이 높지 않기 때문에 윈도우98이나 NT를 설치할 수 없는 컴퓨터일지라도 리눅스를 설치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입니다.
원래 유닉스는 MS윈도 같은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없었기 때문에 유닉스를 잘 사용하는 사람들은 커맨드 방식(MS-DOS 모드에서 사용하는 텍스트 방식)에 익숙해져 있습니다.
그 이유는 리눅스나 유닉스 사용자들은 다양한 환경설정 파일을 한텀(Hanterm)이라는 도스 환경에서 변경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최근의 KDE나 GNOME이라 불리우는 X-Windows 환경이 보급되면서 편리하게 리눅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KDE의 경우 MS사의 윈도와 비슷해서 윈도95/98을 사용하던 사용자들도 쉽게 리눅스 환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와 윈도우즈의 다른점을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리눅스는 일반 PC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개 OS이지만 Windows 는 Microsoft 사에서 만든 상용 OS라는 점입니다. 다시말해, 리눅스란 인텔 80386 이상을 사용하는 PC에서 운영되는 유닉스 운영체제의 공개 버전이며, 공개버전이란 윈도우처럼 돈을 주고 사는것이 아니라, 리눅스의 모든 소스는 인터넷에 공개되어있고, 무료로 사용할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이 역시 소스와 함께 인터넷상에 공개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gcc, g++ 등의 개발툴이 있습니다...
기본적인 환경은 POSIX 사양 및 SYSV, BSD와 같으나 독자적인 소스로 개발되었으며, 커널은 대학생인 Linus B. Torvalds(리누스 토발즈)에 의해 제작되었고, 기타 유틸리티와 응용 프로그램들은 인터넷을 통한 많은 해커들로 부터 제작되었습니다...
리눅스는 우선, 아래와 같은 기능상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아래와 같은 종류가 있는데, Installation and Getting Started The Kernel Hacker's Guide Network Administration Guide Linux System Administrator's Guide 또한, 이 이외에 유용한 여러가지 HOWTO 문서들이 있습니다. Installation HOWTOElectronic Mail HOWTO Linux, INFO-SHEETUUCP HOWTO Linux, META-FAQSCSI HOWTO NET-2 HOWTOPrinting HOWTO Ethernet HOWTOHardware ompatibility HOWTO News HOWTOXFree86 HOWTO Distribution HOWTOSound HOWTO 실제적 이런 문서들은 인터넷을 경유하지 않으면 직접적으로 얻을 수 없으나, 인터넷을 액세스할 수 있는 분들의 수고로 하이텔을 비롯한 여러 BBS에서 구할 수 있으며, 리눅스는 다양한 방법으로 배포됩니다.
커널(운영체제의 핵심부분)을 포함한 각각의 소프트웨어들을 개별적으로 구하여(통신상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앞으로 설명할 여러가지 소프트웨어를 종합하여 배포본(디스크)을 만들어 배포되는 것이 있습니다.
현재 Slackware 배포본이 주로 보급되고 있으며, 또한 국내에서 리눅스를 배포하시는 여러 분들께서 나름대로의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배포하는 것도 있습니다. 이런 배포본들은 대부분 한글이 지원되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주로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설치하는 방법도 약간씩 다를 수 있습니다. 리눅스를 쉽게 구하시려면, 시중의 서점에서 리눅스에 관한 책을 사셔도 리눅스를 무료로 받을수 있으며, 인터넷으로 다운을 받으시려면, 아래의 리눅스 홈페이지에 가시면 무료 다운로드가 됩니다...
http://kldp.org/
http://www.mizi.co.kr/ko
http://wowlinux.co.kr/index.html
http://kr.hancom.com/
참고로 리눅스의 종류가 많은데, 서버용으로는 레드헷(Red Hat Linux)이 좋으며,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는 한컴(Hancom Linux)것이 좋습니다. 위에 말했듯, 리눅스의 모든 소스는 일반에 공개되어 있으며, 누구나 임의로 수정하고 새로운 버전을 만들수 있습니다. 그래서 리눅스의 종류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이를 배포판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리눅스의 종류로는...
★레드헷(Red hat) 리눅스,
레드헷 소프트웨어 사가 제공하는 리눅스 배포판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배포판이며, 가장 설치하기 쉬운 리눅스 배포판으로서 "RPM" 유틸을 이용한 효과적이고 빠른 패키지 업그레이드 또는 관리가 가능합니다. X 윈도우 시스템을 위한 그놈(GNOME : GNU Network Object Model Environment)와 KDE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슬릭웨어(slackware) 리눅스
월넛 크리크 소프트웨어 사가 제공하는 리눅스 배포판으로 설치과정은 간단하나 업그레이드나 패키지 관리가 취약한 배포판이며, 리눅스에 친숙한 사람은 능숙하게 쓸 수 있는 배포판으로 인텔 버전만 존재합니다.
★데비안(debian) 리눅스
비영리기구가 제공하는 것으로 오픈 소스 진영에서 인기가 높은 배포판이며, 공개 소스(Open source), 자유(Free) 운영체제로서 각광받는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현재 3950개 이상의 패키지가 있으며 이 모두가 자유 소프트웨어입니다. 데비안 최신 릴리즈로서는 2002년 1월에 발표된 2.2r5가 있습니다.
★칼데라(caldera) 오픈 리눅스
이 배포판은 상용 소프트웨어 업체인 칼데라 사에서 제공하는 기업용 위주의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기본적으로 KDE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수세(Suse) 리눅스
상용 소프트웨어 업체인 S.u.S.E.가 제공하며, 유럽에서 가장 인기있는 배포판입니다.
그리고, 국내의 리눅스 배포판으로는...
★한컴 리눅스
국내 소프트웨어 사인 한글과 컴퓨터 사에서 제공하는 한글버전의 리눅스입니다. 2002년 1월 자로 2.0 Deluxe가 출시되었으며, 한글 워드프로세서가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고, 한컴KDE 2.2,1, 2.4.13-1hl 커널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와우 리눅스
레드헷 리눅스 7.1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리눅스로서, 2002년 1월 자로 7.1 파란이 출시되었습니다. 1024 실린더, 고해상도 그래픽 LILO가 제공되고, kerner 2.4.2를 커널로 제공하며, KDE 2.1.1, GNOME 1.4가 기본적인 GUI 환경으로 제공됩니다.
★미지 리눅스
2002년 1월 자로 미지 리눅스 2.0이 출시되었고, 리눅스 2.4.9를 기반으로 하며, DE2.2를 GUI 환경으로 제공합니다. 기존의 ext2 대신 reiserfs 파일 시스템을 제공하여 보다 안정적인 파일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참고로, 리눅스에서 실행되는 X 윈도우 GUI는 기본적으로 MS사의 윈도우와 다르고, 하드웨어 인식은 리눅스를 따라잡을 운영체제가 없습니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장치가 리눅스와 호환됩니다.
'Depot > 그렇고그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재 (0) | 2008.03.29 |
---|---|
[세상] 양주 여중생 살인사건 소식을 보고.. (0) | 2008.03.18 |
[세상] 안양 초등학생 납치 살해 용의자 자백 소식을 듣고 (0) | 2008.03.17 |
[세상] 마이클 잭슨의 농담(?) (0) | 2008.02.20 |
[정치] 인수위의 집단향응과 망국병 (2) | 2008.02.18 |
[세상] 숭례문 기와판매와 반대서명운동이 한사람의 자작극이라.... (0) | 2008.02.18 |
Nickel electroplating (0) | 2008.02.18 |
남대문(숭례문)에 불이 나서 (0) | 2008.02.13 |
댓글